'농업인의 날' 기념식에서 참석해선 "농업이 철저한 준비를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도전한다면 한미FTA는 농업의 미래를 여는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미 FTA 국회 통과 이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일대를 중심으로 한·미 FTA 비준안 무효 요구 집회가 확산되자, 김 총리는 이에 대한 정부의 엄정한 대응 방침을 내세웠다.
김 총리는 지난달 28일 한·일 의원연맹 합동총회 개회식 참석차 이동 중 유성식 국무총리실 공보실장을 통해 "이제 우리나라도 하루 빨리 지금의 (폭력적인) 시위문화를 바꾸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정부는 공권력에 도전하는 불법․폭력시위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단호하고도 엄정하게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집회과정에서 일부 시위대들이 종로경찰서장을 폭행한 것과 관련해서는 "국가정책이 자신들의 견해와 맞지 않는다고 해 집단으로 거리를 점거하고 법을 집행하는 경찰관들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것은 어떠한 경우에도 정당화될 수 없다"며 "경찰은 흔들림 없이 맡은 바 직무에 최선을 다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newslink.media.daum.net
【서울=뉴시스】장진복 기자 = 김황식 국무총리가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국회 비준을 둘러싼 논란 잠재우기 위해 전방위적으로 나섰다.김 총리는 한·미 FTA 비준동의안이 지난 22일 국회에서 처리되기 전부터 국무회의 모두발언 등을 통해 한·미 FTA 국회 통과 당위성을 적극 강조했다.그는 지난달 11일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